심리
-
자기효용감(Self-efficacy) vs. 주도감(Sense of Agency)의 차이심리 2025. 2. 15. 07:00
자기효용감(Self-efficacy)과 주도감(Sense of Agency)은 모두 개인이 자신의 행동과 결과를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과 관련이 있지만, 개념적으로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1. 자기효용감(Self-efficacy): "나는 할 수 있다"정의자기효용감은 어떤 목표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의미합니다.심리학자 Albert Bandura가 제시한 개념으로, "내가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낼 능력이 있다"는 믿음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합니다. Albert Bandura - Wikipedia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anadian-American psychologist (1925–2021) Albert Bandura (D..
-
[Sense of Agency vs. Self-directedness]주도감과 자기주도성의 차이심리 2025. 2. 14. 07:12
🧑⚖️ Sense of Agency vs. Self-directedness: 주도감과 자기주도성의 차이Sense of Agency(행위감, 주도감)과 Self-directedness(자기주도성)은 모두 개인이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과 관련이 있지만, 개념적으로는 차이가 있습니다.1. Sense of Agency(행위감, 주도감): ‘내가 행동을 조절하고 있다’는 감각정의자신의 행동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감각우리가 결정하고 행동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즉각적인 통제감예시컵을 들려고 할 때, 손이 자동으로 움직이면 "내가 이 컵을 들었다"는 감각이 듦 → Sense of Agency가 있음반대로, 손이 내 의도와 다르게 움직이거나(예: 뇌졸중, 틱장애), 우울이..
-
[Sense of Agency | 주도감]우리가 삶을 주도할 수 있다는 감각심리 2025. 2. 13. 07:11
1. Sense of Agency란 무엇인가?Sense of Agency(행위감, 주도감)는 "내가 내 행동을 조절하고, 그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감각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내가 내 삶을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입니다.우리는 일상에서 수많은 결정을 내리고 행동합니다. 아침에 눈을 뜨고 일어나기로 한 것도, 점심으로 무엇을 먹을지 고른 것도 모두 우리의 선택입니다. 하지만 어떤 때는 삶이 통제되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원하는 방향으로 일이 풀리지 않을 때환경이나 타인의 영향이 너무 강할 때무기력함이 지속될 때이런 상황에서는 Sense of Agency가 약해지고, 결국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달라지는 게 없어”라는 생각이 들기 쉽습니다.2. Sense of Agency가 중요한 이유Sense..
-
[심리]생각하는 만큼 늙는다. 엘렌 랭어의 ‘카운터 클락와이즈(Counterclockwise) 실험'심리 2025. 2. 2. 23:10
엘렌 랭어의 ‘카운터 클락와이즈(Counterclockwise) 실험’ 정리엘렌 랭어(Ellen Langer) 하버드대 심리학과 교수는 1979년 노인들을 대상으로 1959년으로 되돌아간 듯한 환경을 조성하여 일주일간 생활하도록 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 실험은 ‘카운터 클락와이즈(Counterclockwise) 실험’으로 불립니다. Ellen LangerAbout Ellen Langer For over 40 years, Dr. Langer has studied Mindlessness/ Mindfulness in everyday situations where mindlessness is pervasive and very costly. Mindfulness (without meditation), on..
-
[논문/해외/정신과]초코렛의 기분효과, 2006심리 2021. 5. 4. 17:59
Parker, Gordon, Isabella Parker/Heather Brotchie. “Mood state effects of chocolat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92, 호 2 (2006년): 149–59. https://doi.org/10.1016/j.jad.2006.02.007. Redirecting linkinghub.elsevier.com 초코렛의 기분 효과 요약 초콜렛 소비 즐거움과 쾌락과 관련이 있음 자극제, 이완제, 행복제, 최음제, 강장제, 항우울제 특성이 있다고 주장 초콜렛 특성과 기분 변화 성향을 다루는 주요 가설 검토 [[음식에 대한 갈망]], [[정서적 식사]]를 구별 각각에 대한 정신-생리학적 토대를 고려 초콜렛 효과의 가능한 '위치'를..
-
거짓말 : 작화증과 공상 허언증심리 2021. 5. 3. 13:24
작화증 안와전두엽 [[orbitofrontal lobe]] 손상 대뇌의 앞쪽에서 눈 쪽 가까이에 있는 부위 기본적인 충동 조절이 되지 않고 감정 표출의 경계가 무너짐 사회적 규범, 관습, 법규 등을 벗어나고 통제가 되지 않기 때문 ‘가성 사이코패스 증후군’이라고 부르기도 작화증은 기억나지 않는 빈틈을 채워 넣기 위해 이야기를 꾸며내는 것 치매를 앓는 노인이 돈을 어디에 뒀는지 기억나지 않아 이를 감추거나 그 사실을 인정하기 싫어 핑계를 대는 것 공상허언증 거짓말이 반복될수록 다른 사람뿐 아니라 자신마저도 거짓말을 믿도록 세밀하고 구체적인 내용을 구성 스스로도 진실이라고 믿게 되거나 믿을 만한 자격을 갖췄다고 생각 병적 거짓말 공상허언증 원인 거짓말 이득이 손실보다 크면 거짓말을 하려는 동기가 강해짐 사람..
-
[안락사] 스위스의 의사조력 자살심리 2021. 3. 9. 08:00
안락사 안락사 문제는 아직도 복잡한 윤리적 문제를 가지고 있다. 안락사 문제에 대해서도 용어가 정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데, 그 중 스위스의 의사조력자살에 대해서 알아 볼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는 죽음에 대해서 논의할 준비 자체가 되어 있지 않고, 그 뒤에는 의료비와 관련된 경제적 문제도 있어서, 아직은 시기 상조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물론 국내 외 의사회에서는 의사조력 자살에 반대하고 있다. ‘세계의사회는 의료윤리의 원칙에 대한 강력한 헌신을 지속적으로 쏟고 있으며, 인간의 삶에 대한 존중이 최고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세계의사회는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에 단호하게 반대하고 있다.’ “의사들은 안락사나 조력자살을 도입한 몇몇 곳의 걱정되는 증거를 봐 왔다”면서 “장애, 연령, 질환 여부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