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
-
[심리검사]라스킨 우울 척도 Raskin Depression Scale심리 2025. 4. 1. 08:08
라스킨 우울증 척도는 개인의 우울증의 심각성을 평가하기 위해 고안된 임상 전문가용 도구입니다. 이 척도는 자기 보고 데이터보다는 관찰 가능한 증상과 임상적 인상을 바탕으로 우울증을 평가합니다. 이 척도는 우울 장애를 진단하고 모니터링하는 정신과 환경에서 특히 유용합니다.라스킨 우울증 척도의 주요 특징임상 전문가용: 자기 보고 척도와는 달리, 이 척도는 훈련된 임상의가 증상을 관찰하고 평가해야 합니다.집중 영역: 이 척도는 우울증의 세 가지 주요 측면을 평가합니다.언어적 보고: 환자의 기분과 감정에 대한 환자의 말.행동적 특징: 정신 운동 활동이나 표정과 같은 관찰 가능한 행동.기분(주관적): 환자의 감정 상태에 대한 임상의의 인상.점수 시스템:각 차원은 1(정상)에서 5(심각)까지의 척도로 평가되며, 점..
-
[심리검사]코비불안척도 Covi Anxiety Scale (COVI)심리 2025. 3. 31. 15:03
Covi 불안 척도(Covi Anxiety Scale, COVI)는 성인의 불안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임상 전문가가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이 척도는 세 가지 주요 변수를 평가합니다.환자 불만: 불안 증상의 언어적 보고.행동 관찰: 관찰 가능한 불안 행동.신체 증상: 불안의 신체적 징후, 예를 들어 안절부절 못함이나 긴장감.이 척도는 불안의 강도를 수치화하기 위해 5점 척도를 사용합니다.이 척도는 불안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치료적 개입을 평가하기 위해 임상 및 연구 환경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응용 분야임상적 사용: 불안과 우울증을 구분하고 치료 진행 상황을 추적합니다.연구: 불안 패턴을 이해하고 중재 방법을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정책 개발: 불안 장애를 다루는 전략을 안내합니다.점수 부여 및 분석응답은..
-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 - 선량한 힘을 발휘하는 사회 구조의 중요성심리 2025. 3. 15. 07:30
한나 아렌트가 제시한 '악의 평범성' 개념은 우리 사회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개념은 평범한 사람들이 어떻게 악행에 가담하게 되는지를 설명하며, 동시에 어떻게 우리의 선량한 본성이 발현될 수 있는 사회 구조를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집니다. 아렌트는 나치 전범 아돌프 아이히만의 재판을 관찰하면서, 악이 특별한 괴물이나 사악한 의도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평범한 사람들의 생각하지 않음, 즉 '사유의 부재'에서 비롯됨을 깨달았습니다. 이러한 통찰은 오늘날 우리가 더 나은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지침이 됩니다.악의 평범성: 생각하지 않는 평범함의 위험한나 아렌트는 1963년 출간한 저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
[책]상실의 시대책]상실의 시대(노르웨이 숲) 무라카미 하루키심리 2025. 2. 28. 02:17
매일 진료실에 갇혀서, 진료에만 쫓기다보면, 나 자신이 어떻게 살고 있는지를 놓치고 있다는 생각이 들 때가 있습니다. 마감을 하고 매일 늦은 시간 집에 도착하는데, 이렇게 사는게 맞는 것인지 하는 물음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런데, 일본에서 제6회 국제 뇌자극 학회를 마치고, 기차로 이동하며 한국의 뉴스를 보다가, 몇가지 생각이 들었습니다. 6th International Brain Stimulation Conference 국제뇌자극학회 고베제6회 국제 뇌 자극 학회(6th International Brain Stimulation Conference)가 2025년 2월 23일부터 26일까지 일본 고베에서 개최됩니다. 이 학회는 뇌 자극 분야의 최신 연구와 혁신을 논의하기 위해 세계 각국의mentalheal..
-
자기효용감(Self-efficacy) vs. 주도감(Sense of Agency)의 차이심리 2025. 2. 15. 07:00
자기효용감(Self-efficacy)과 주도감(Sense of Agency)은 모두 개인이 자신의 행동과 결과를 통제할 수 있다는 믿음과 관련이 있지만, 개념적으로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1. 자기효용감(Self-efficacy): "나는 할 수 있다"정의자기효용감은 어떤 목표나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의미합니다.심리학자 Albert Bandura가 제시한 개념으로, "내가 원하는 결과를 만들어낼 능력이 있다"는 믿음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합니다. Albert Bandura - Wikipedia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Canadian-American psychologist (1925–2021) Albert Bandura (D..
-
[Sense of Agency vs. Self-directedness]주도감과 자기주도성의 차이심리 2025. 2. 14. 07:12
🧑⚖️ Sense of Agency vs. Self-directedness: 주도감과 자기주도성의 차이Sense of Agency(행위감, 주도감)과 Self-directedness(자기주도성)은 모두 개인이 자신의 삶을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과 관련이 있지만, 개념적으로는 차이가 있습니다.1. Sense of Agency(행위감, 주도감): ‘내가 행동을 조절하고 있다’는 감각정의자신의 행동이 자신의 의지에 따라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감각우리가 결정하고 행동하는 과정에서 느끼는 즉각적인 통제감예시컵을 들려고 할 때, 손이 자동으로 움직이면 "내가 이 컵을 들었다"는 감각이 듦 → Sense of Agency가 있음반대로, 손이 내 의도와 다르게 움직이거나(예: 뇌졸중, 틱장애), 우울이..
-
[Sense of Agency | 주도감]우리가 삶을 주도할 수 있다는 감각심리 2025. 2. 13. 07:11
1. Sense of Agency란 무엇인가?Sense of Agency(행위감, 주도감)는 "내가 내 행동을 조절하고, 그 결과를 만들어낸다"는 감각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해, ‘내가 내 삶을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입니다.우리는 일상에서 수많은 결정을 내리고 행동합니다. 아침에 눈을 뜨고 일어나기로 한 것도, 점심으로 무엇을 먹을지 고른 것도 모두 우리의 선택입니다. 하지만 어떤 때는 삶이 통제되지 않는 것처럼 느껴지기도 합니다.원하는 방향으로 일이 풀리지 않을 때환경이나 타인의 영향이 너무 강할 때무기력함이 지속될 때이런 상황에서는 Sense of Agency가 약해지고, 결국 “내가 아무리 노력해도 달라지는 게 없어”라는 생각이 들기 쉽습니다.2. Sense of Agency가 중요한 이유Sense..
-
[심리]생각하는 만큼 늙는다. 엘렌 랭어의 ‘카운터 클락와이즈(Counterclockwise) 실험'심리 2025. 2. 2. 23:10
엘렌 랭어의 ‘카운터 클락와이즈(Counterclockwise) 실험’ 정리엘렌 랭어(Ellen Langer) 하버드대 심리학과 교수는 1979년 노인들을 대상으로 1959년으로 되돌아간 듯한 환경을 조성하여 일주일간 생활하도록 하는 실험을 진행했습니다. 이 실험은 ‘카운터 클락와이즈(Counterclockwise) 실험’으로 불립니다. Ellen LangerAbout Ellen Langer For over 40 years, Dr. Langer has studied Mindlessness/ Mindfulness in everyday situations where mindlessness is pervasive and very costly. Mindfulness (without meditation), 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