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질환
-
정신장애인 지원 센터들정신질환 2021. 11. 19. 15:27
당사자 만큼이나 당사자를 잘 아는 사람은 없다고 생각한다. 뿐만아니라, 당사자 운동을 할정도로 나아진 모습이 다른 당사자들과 다른 가족들에게,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 들에게 정신질환 및 정신과 치료에 대한 편견을 타파할 수 있게 해준다. 당사자 스스로가 나아짐으로써 치료의 필요성을 다른 사람에게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이보다 더 큰 용기가 있을까. 동료지원가 온라인 교육 https://peer-edu.or.kr/ 정신장애 동료활동가 평생교육원 2021년 동료활동가 온라인 교육 지연 안내 peer-edu.or.kr http://www.kmdpcil.com/ 한국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 한국정신장애인자립생활센터 홈페이지에 오신것을 환영합니다. www.kmdpcil.com http://peersupported.o..
-
정신장애인 가족지원 활동정신질환 2021. 11. 18. 14:57
정신장애를 바라보는 다양한 입장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당사자, 가족, 센터, 병원 모두가 한팀으로 더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한팀으로써 서로도와야 한다. 그 중 당사자만큼이나 중요한 사람은 바로 당사자의 가족이 아닐까 한다. 치료에 있어서도 가장 핵심적인 역할들, 그리고, 현 병원을 제외하고 사회의 지지체계가 부족하기 때문에, 결국, 정신장애인 돌봄과 관련된 부담에서도 가족들이 가장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료의 주체로써, 지지, 교육의 대상으로 가족을 바라보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가족지원 활동가 http://www.mindpost.or.kr/news/articleView.html?idxno=3742 “당사자를 가장 잘 이해하는 집단은 가족...가족지원활동가 정책적으로 양성해야” -..
-
조현병 당사자, 조현병을 가진 사람들 당사자 운동정신질환 2021. 11. 17. 14:34
'당사자'라는 단어가 낯선 사람들이 많으리라 생각한다. '인권을 침해받은 사람이나 그룹의 인권을 옹호하기 위해 펼치는 광범위한 운동을 가리켜 당사자 운동이라고 부른다.' http://www.mindpost.or.kr/news/articleView.html?idxno=4721 “당사자운동은 사회가 부여한 정체성을 거부하고 정체성을 재정의하는 것” - e마인드포스트 “정신장애인 당사자 활동의 생성은 크게 2가지 토대가 있습니다. 하나는 정신건강복지세터와 같은 시설에서의 활동을 기반으로 해서 당사자 리더들이 양성되고 자조모임에서 활동하면서 운동 www.mindpost.or.kr https://www.kcgat.org/bbs/board.php?bo_table=opinion&wr_id=10 [오피니언9호] 하경희..
-
[논문/해외]자살과 관련된 뇌구조, 뇌 네트워크정신질환 2021. 3. 12. 07:00
자살과 관련된 뇌 네트워크 미국 예일대 정신신경과 힐러리 블룸버그(Hilary Blumberg) 교수의 문헌 리뷰 문헌리뷰 1만 20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131개 연구를 살펴보고 자살 위험 증가시킬 수 있는 뇌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조사 두 개의 뇌 네트워크와 이들 사이의 연결을 식별 첫 번째 네트워크 [[안쪽과 측면 복부 전전두엽 피질]] (medial and lateral ventral prefrontal cortex)로 알려진 뇌의 전방 쪽 영역과 함께 이 영역이 연결된, 감정과 관계되는 뇌의 다른 영역을 포함했다. 과도하게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 조절의 어려움을 유도해 자살 생각을 자극 가능 두 번째 네트워크 [[배측 전전두엽 피질]] (dorsal prefrontal cortex)과 [[하전..
-
[리뷰,2020]코로나19와 정신증 위험 : 진실일까 망상적 걱정일까?정신질환 2020. 12. 30. 12:25
코로나와 관련하여, 정신의학의 영역에서 가장 주된 문제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경험 할 수 밖에 없는 코로나 블루이다. 그 외 추가되는 걱정들로는 정신증에 관한 것이 있는데, 최근 정신증에 관한 신문 기사가 등장하며 그 걱정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에 신종플루와 이에 대한 치료인 타미플루에도 이와 유사한 걱정이 있었는데, 최근 이와 관련하여, 영국에서 발표된 리뷰 논문이 있어서 한 번 번역해 보도록 하겠다. COVID-19 and psychosis risk: Real or delusional concern? Neurosci Lett. 2021 Jan 10;741:135491. doi: 10.1016/j.neulet.2020.135491. Epub 2020 Nov 18. Cameron J Watson 1, Rh..
-
[외신] 퀸스갬빗의 10 가지 심리적 진실정신질환 2020. 12. 17. 16:23
10 Psychological Truths in "The Queen’s Gambit" Good storytelling doesn't merely entertain us. It conveys the truths of life. Posted Nov 25, 2020 www.psychologytoday.com/us/blog/why-we-need-heroes/202011/10-psychological-truths-in-the-queen-s-gambit 10 Psychological Truths in "The Queen’s Gambit" Good storytelling doesn't merely entertain us. It conveys the truths of life. www.psychologytoday.co..
-
[외국논문,2011]정신병리에 크리스마스 효과정신질환 2020. 12. 16. 07:00
The Christmas Effect on Psychopathology by Randy A. Sansone, MD, and Lori A. Sansone, MD Innov Clin Neurosci. 2011;8(12):10–13 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3257984/ 앱스트랙트 도시 전설에 따르면 정신 병리학은 크리스마스를 포함하여 휴일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우리는이 현상과 관련된 실증적 연구를 위해 PsycINFO 및 PubMed 데이터베이스의 문헌 검색에 착수했습니다. 우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개인의 전반적인 기분이 악화 될 수 있으며, 크리스마스 휴가를 전후하여 알코올 관련 사망자가 증가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응급실 및..
-
[외신,2018]크리스마스와 정신건강 - 증거가 말하는 것들정신질환 2020. 12. 15. 12:18
Christmas and Mental Health - What Does the Evidence Tell Us? 성탄절과 정신건강 - 증거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합니까? 크리스마스는 “최고/wonderful”의 시간입니다. 그 자체로 매우 복잡한 문장입니다. 처음에는, 종종 사람들의 강한 감정적 반응을 불러 일으킵니다. “메리 크리스마스”를 기원하는 사회정치적 파급효과 외에도, holiday blues라 불리는 문제가 있습니다. 직장에서 하루종일 교류하는 사람들과 같이 시간을 보내야 하는 강제적인 축제(회식)와 퇴근 후 행사들, 가족불화, 혹은 완벽한 이벤트를 만들기 위해 서두르는 스트레스. 당연히, 이 기간중 최악은 정신건강에 미치는 부담입니다. 크리스마스 기간 자살율이 높습니까? 이것은 전혀 사실이 아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