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신장애인 가족지원 활동정신질환 2021. 11. 18. 14:57반응형
정신장애를 바라보는 다양한 입장이 있으리라 생각한다.
당사자, 가족, 센터, 병원
모두가 한팀으로 더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한팀으로써 서로도와야 한다. 그 중 당사자만큼이나 중요한 사람은 바로 당사자의 가족이 아닐까 한다. 치료에 있어서도 가장 핵심적인 역할들, 그리고, 현 병원을 제외하고 사회의 지지체계가 부족하기 때문에, 결국, 정신장애인 돌봄과 관련된 부담에서도 가족들이 가장 중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치료의 주체로써, 지지, 교육의 대상으로 가족을 바라보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가족지원 활동가
http://www.mindpost.or.kr/news/articleView.html?idxno=3742
“당사자를 가장 잘 이해하는 집단은 가족...가족지원활동가 정책적으로 양성해야” - e마인드포
전국의 정신건강복지센터와 국립병원 등에 가족지원활동가가 상주할 수 있는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또 가족지원활동가 양성을 위한 매뉴얼 역시 통합적으로 마련돼야 한다는
www.mindpost.or.kr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912532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정신장애인 가족지원활동가 양성교육 제공
청주--(뉴스와이어) 2020년 10월 22일 --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원장 허선, 이하 인력개발원)은 지역사회의 정신장애인과 가족을 돕고자 기본교육을 이수한 가족을 대상으로 5월부터 ‘정신장애
www.newswire.co.kr
국립공주병원
국가정책을수행을 통한 국민 정신건강 실현, 국립공주병원 (Gongju National Hospital.)
www.knmh.go.kr
국립정신건강센터, 국립공주병원에서 가족상담을 진행하고 있고, 이러한 가족의 참여를 독려하고 있다.
Family Link - 정신질환 환우들의 가족과 함께 하는 교육
www.familylink.or.kr
패밀리링크를 검색해도, 정신장애인 가족지원사업 관련 내용은 안나오고, 엉뚱한 것만 나온다. 정신질환자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은 이런 것 부터 시작이 아닐까 한다. 조현병 가족 교육인 패밀리링크는, 세계보건기구 협력기관과 함께하는 가족교육프로그램이다.
미국의 NAMI 의 Family-to-Family 프로그램을 기초로 하여쏙, 아시아 사회문화에 적절하게 홍콩에서 개발되어 아시가7개국에 번역출간되었다. 2004년 국내에 일차번역 후 초판 발간하였고, 한국 상황에 맞추어 지속적으로 수정되고 있다. 패밀리 링크는 한국 얀센과 존슨앤존슨사의 후원으로 제작되었고, 전국의 당사자 가족에게 제공되고 있다.
반응형'정신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독]마리화나에 대한 잘못된 정보 (0) 2025.03.14 정신장애인 지원 센터들 (0) 2021.11.19 조현병 당사자, 조현병을 가진 사람들 당사자 운동 (0) 2021.11.17 [논문/해외]자살과 관련된 뇌구조, 뇌 네트워크 (0) 2021.03.12 [리뷰,2020]코로나19와 정신증 위험 : 진실일까 망상적 걱정일까? (0) 2020.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