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DHD약]콘서타 메디키넷 차이정신과 치료와 약 2025. 3. 17. 07:07반응형
CONCERTA (methylphenidate OROS)와 Medikinet Retard (methylphenidate MR)는 ADHD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용 중추신경자극제로, 방출 메커니즘과 약동학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두 제제의 주요 특징을 비교 분석합니다.
콘서타 메디키넷 차이 ⓒ정신의학연구소(주) 약동학적 특성 비교
CONCERTA (OROS) Medikinet Retard 방출 구성 22% 즉시방출(IR) + 78% 지속방출(ER) 50% IR + 50% ER 초기 Cmax 도달 시간 약 1시간 1-2시간 두 번째 Tmax 6-10시간 3-4시간 (ER 성분) 작용 지속시간 12시간 8시간 생체이용률 IR 대비 91.4%, SR 대비 101% IR과 동등 식사 영향 필요 없음 일부 제형은 식사 필요 (예: Medikinet XL) - CONCERTA
- 삼투압 조절 방출 시스템(OROS)을 사용하여 22% 즉시 방출 후 78%가 서서히 방출
- 혈장 농도는 1시간에 초기 피크를 보인 후 6-10시간 사이에 주 피크에 도달
- 반감기는 약 3.6시간으로 단일/반복 투여 시 축적되지 않습니다.
- Medikinet Retard
- 50:50 IR/ER 구성으로, 초기 IR 성분이 더 높아 첫 3-4시간 내 더 빠른 효과 발현이 가능
- 교실 환경에서 초기 주의력 개선에 유리한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약력학적 특성
두 제제 모두 도파민(DAT)과 노르에피네프린(NET) 재흡수 억제를 주요 작용 기전으로 합니다. d-이성체가 주요 활성 성분이며, 약력학적 프로파일은 유사하나 방출 패턴 차이로 인한 임상 효과 차이가 있습니다:
- CONCERTA: 12시간 지속 효과로 하루 1회 투여 가능
- Medikinet Retard: 높은 IR 성분(50%)으로 초기 증상 조절에 우수
임상적 함의
- 효과 발현 시간: Medikinet Retard는 투여 3시간 내 SKAMP 평가에서 CONCERTA 대비 우월한 효능(p=0.0009)을 보였으나, 전체 작용 시간에서는 CONCERTA가 더 긴 지속성을 가집니다.
- 용량 조절: Medikinet Retard는 CONCERTA와 동등한 일일 용량에서 더 높은 IR 성분을 제공하지만, 낮은 용량에서도 비열등성이 입증되었습니다.
- 부작용 프로파일: 두 제제 모두 유사한 부작용 발생률을 보이지만, Medikinet Retard의 경우 초기 IR 성분으로 인해 심혈관 영향(심박수 증가)이 더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차이점은 환자의 증상 패턴(예: 아침 집중력 결핍 vs 종일 지속 증상)과 생활 패턴에 맞춘 약제 선택이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Citations:
- https://www.jnjmedicalconnect.com/media/attestation/products/concerta/concerta-pharmacokinetics-of-concerta.pdf
- https://www.sps.nhs.uk/articles/prescribing-and-switching-between-modified-release-methylphenidate/
- https://www.liebertpub.com/doi/abs/10.1089/cap.2010.0082
- https://academic.oup.com/ijnp/article/17/3/371/758860
- https://en.wikipedia.org/wiki/Methylphenidate
- https://www.accessdata.fda.gov/drugsatfda_docs/label/2004/21121s008lbl.pdf
- https://www.geneesmiddeleninformatiebank.nl/pars/h112772.pdf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205792/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581573/
- https://pubmed.ncbi.nlm.nih.gov/21790298/
- https://www.accessdata.fda.gov/drugsatfda_docs/label/2007/021121s014lbl.pdf
- https://pubmed.ncbi.nlm.nih.gov/10628897/
- https://www.pharmgkb.org/pathway/PA166181140
- https://go.drugbank.com/drugs/DB00422
- https://www.pmcpa.org.uk/media/1580/2472-may-2012.pdf
반응형'정신과 치료와 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ADHD 치료제 품귀 현상: 원인, 대응, 영향 분석 (0) 2025.03.21 ADHD 치료에서 아리피프라졸의 역할은? (0) 2025.03.19 [항우울제/SSRI]플루옥세틴, 프로작, 노르작, 푸록틴, 폭세틴 (0) 2025.03.14 [항우울제/SSRI]에스시탈로프람, 렉사프로, 뉴프람, 에프람 (0) 2025.03.10 [정신과약]치매 환자에서 리스페리돈과 올란자핀의 위험성 비교 (1) 2025.03.04 - CONCER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