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우울제/SSRI]에스시탈로프람, 렉사프로, 뉴프람, 에프람정신과 치료와 약 2025. 3. 10. 07:57반응형
에스시탈로프람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계열에 속하는 항우울제입니다. 주로 12세 이상의 성인과 청소년의 주요 우울 장애와 성인의 불안 장애 치료에 사용됩니다. 에스시탈로프람은 뇌의 세로토닌 수치를 높여 화학적 균형을 회복하고 기분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항우울제 에스시탈로프 - 주요 우울 장애(MDD)
- 일반화된 불안 장애(GAD)
- 사회 불안 장애(SAD)
- 강박 장애(OCD)
- 공황 장애
우울증 성인 환자에게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용량은 1일 1회 10-20mg입니다.
불안 장애의 경우, 용량은 1일 5-10mg으로 시작할 수 있으며, 개인의 반응에 따라 조정될 수 있습니다. 처방된 용량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며, 의료 전문가와 상의 없이 에스시탈로프람 복용을 갑자기 중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에스시탈로프람의 일반적인 부작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메스꺼움
- 두통
- 불면증
- 구강 건조증
- 피로감
- 성기능 문제(성욕 감소, 사정 장애)
대부분의 부작용은 경미하며, 신체가 약물에 적응함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선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에스시탈로프람은 특히 치료 첫 몇 개월 동안 젊은 성인에게 자살 충동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특히 세로토닌 수치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약물과 상호 작용하여 잠재적으로 세로토닌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갑작스러운 중단은 금단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료 감독하에 점차적으로 복용량을 줄여야 합니다.
Escitalopram은 성인 주요 우울 장애의 단기 치료에 가장 효과적이고 내약성이 좋은 항우울제로 간주됩니다. 다른 SSRI에 비해 세로토닌 수송체에 대한 선택성이 더 높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을 수 있습니다.
에스시탈로프람(Escitalopram)에 대한 TMI
에스시탈로프람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계열에 속하는 항우울제로, 주요 우울장애를 비롯한 다양한 불안 장애의 치료에 널리 사용됩니다. 이 약물은 기존 SSRI인 시탈로프람(Citalopram)의 라세미 혼합물에서 치료 활성을 가진 S-이성질체만을 분리해 개발되었으며, 이로 인해 약효가 강화되고 부작용이 감소된 특징을 지닙니다.
2025년 현재 국내에서는 렉사프로®, 에스토람정®, 뉴프람정® 등 다양한 제네릭 제제로 보급되어 있으며, 신경전달물질 조절을 통한 정신과적 증상 관리의 핵심 약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신경생리학적 작용 메커니즘
뇌 신경세포 간의 신호 전달은 시냅스에서의 신경전달물질 방출과 재흡수 과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에스시탈로프람은 세로토닌 수송체(SERT)의 주 결합 부위(Primary site)와 알로스테릭 부위(Allosteric site)에 동시에 결합하여 세로토닌 재흡수를 이중으로 억제합니다. 이 독특한 작용 기전은 기존 SSRI보다 강력한 효능을 발휘하며, R-이성질체가 존재할 경우 발생하는 치료 효과 방해 현상을 제거해 치료 반응을 최적화합니다.
시냅스 간격의 세로토닌 농도 증가는 5-HT1A 자가수용체의 하향조절을 유도하며, 이 과정을 통해 약물 투여 후 2-4주 내에 항우울 효과가 점진적으로 나타납니다. 신경가소성 측면에서는 BDNF(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발현 촉진을 통해 해마 신경세포 재생을 돕는 것이 주요 작용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치료 적응증 및 임상 적용
주요 우울장애(Major Depressive Disorder)
1일 10mg으로 시작해 최대 20mg까지 증량 가능하며, 6개월 이상의 유지 치료가 재발 방지에 필수적입니다. 무력감, 식욕 변화, 수면 장애 등 핵심 증상 개선에 효과적이지만, 치료 초기 2-4주간은 자살 사고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불안 장애군
- 공황장애: 초기 5mg 투여로 시작해 1주 간격으로 증량하는 것이 내약성 향상에 도움되며, 광장공포증 동반 여부에 관계없이 적용됩니다.
- 사회불안장애: 사회적 상황에서의 과도한 신체 증상(발한, 심계항진) 감소에 효과적이며, 인지행동치료와 병행 시 시너지 효과가 보고되었습니다.
- 범불안장애: 만성적인 초조감과 근육 긴장 완화를 위해 최소 8주간의 치료 기간이 요구됩니다.
강박장애(OCD)
세로토닌 농도 조절을 통한 강박 사고의 빈도 감소 효과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고용량(20mg) 요구되며 치료 반응 평가는 12주 이후에 실시합니다.
용법 및 용량 조절 원칙
에스시탈로프람의 표준 용량 범위는 5-20mg/day이며, 반감기가 27-32시간으로 1일 1회 복용으로 혈중 농도 유지가 가능합니다. 노인이나 간기능 저하 환자의 경우 대사 효소(CYP2C19, CYP3A4) 활동 감소를 고려해 초기 용량을 50% 감량해야 합니다. 신장애 환자에서의 용량 조정은 필요 없으나, 중증 신부전(CrCl <30mL/min) 시 주의 관찰이 필요합니다.
약물 중단 시에는 1-2주에 걸쳐 서서히 감량해야 하며, 급작스러운 중단 시 어지러움·감각 이상·'뇌찌개' 현상 등 금단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간 사용으로 세로토닌 수용체 감소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서서히 감량하면 수용체 밀도가 정상화됩니다.
부작용 프로파일 및 관리 전략
흔한 부작용
- 위장관계: 구역(15%), 구강건조(9%) 등이 초기 1-2주 동안 주로 나타나며, 식사와 함께 복용하면 완화 가능.
- 신경계: 불면증(12%) 또는 과도한 졸림(13%)이 상반된 양상으로 관찰되므로 투여 시간 조정(아침/저녁)이 필요.
- 성기능 장애: 남성의 사정 지연(14%), 성욕 감퇴(7%)가 보고되며, 도파민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는 SSRI의 특성상 가역적입니다.
중증 부작용
- 세로토닌 증후군: 고체온·근경직·의식변화 등이 발생 시 즉시 중단해야 하며, MAO 억제제와의 병용이 주요 위험 인자입니다.
- QT 간격 연장: 특히 여성·저칼륨혈증 환자에서 발생 위험이 높아, 기존 심질환자에서는 투여 전 ECG 검사가 권고됩니다.
- 출혈 경향: 혈소판 세로토닌 감소로 인해 NSAIDs·와파린 병용 시 위장관 출혈 위험 증가.
약물상호작용의 임상적 고려사항
에스시탈로프람은 CYP450 시스템에서 2C19과 3A4 효소에 의해 주로 대사되므로, 해당 효소를 억제하는 플루복사민·에리스로마이신 등과 병용 시 혈중 농도가 50% 이상 상승할 수 있습니다. 삼환계 항우울제(TCA)와의 병용은 TCA의 독성을 증가시키며, 항응고제와의 병용 시 INR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MAO 억제제(예: 모클로베미드)와의 병용은 치명적인 세로토닌 증후군을 유발할 수 있어, 투여 간 최소 2주의 약물 휴지기가 필요합니다. 한편, 세인트존스워트(St. John's Wort) 같은 천연물은 약효를 감소시킬 수 있어 병용을 피해야 합니다.
특수 인구에서의 사용
소아·청소년
18세 미만에서의 자살 사고 증가 가능성으로 FDA에서 블랙박스 경고를 부여했으나, 12-17세 주요 우울장애에 대해 엄격한 Risk-Benefit 평가 하에 한정적으로 사용됩니다. 치료 기간 중 정신 상태 변화에 대한 세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임신·수유부
태반 장벽을 통과하며 인간 데이터에서 기형 발생률 증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출산 직후 신생아의 적응장애 증상(호흡곤란·경련)이 보고되었습니다. 모유로의 이행 비율이 2-3%로 알려져 있어 수유기 사용 시 철저한 의료 감독이 필요합니다.
노인 환자
나이 관련한 간기능 감소로 인해 청년 대비 혈중 농도가 50% 높게 나타나며, 저나트륨혈증 발생 위험이 3배 증가합니다. 낙상 위험 증가를 고려해 초기 용량을 5mg으로 시작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치료 반응 최적화를 위한 접근
효과 판정은 최소 4주 후 실시해야 하며, 부분적 반응 시 용량 증량보다는 치료 기간 연장이 우선 고려됩니다. 약물 반응 부족 시 CYP450 유전자 다형성 검사를 통해 대사 유형(Ultra-rapid metabolizer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치료 저항성 사례에서는 노르에피네프린-도파민 재흡수 억제제(NDRI)인 부프로피온 병용 요법이 고려될 수 있습니다.
인지기능 개선을 위해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 병용이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으며, 운동 요법과 결합 시 항우울 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결론 및 미래 전망
에스시탈로프람은 뛰어난 효능-내약성 밸런스로 SSRI 중 1차 선택약물로 자리잡았으나, 개인별 유전적 차이에 따른 반응 변동성을 고려해 맞춤형 의료 접근이 필요합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알로스테릭 조절 메커니즘을 표적으로 한 신개념 항우울제 개발이 진행 중이며, 뇌-장 축(Brain-Gut Axis) 조절을 통한 부작용 감소 전략도 활발히 탐구되고 있습니다
환자 교육 측면에서는 효과 발생의 지연성을 설명해 약물 순응도를 높이고, 디지털 치료 도구(모바일 앱 등)를 활용한 증상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 치료 성과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Citations:
- https://www.health.kr/Menu.PharmReview/_uploadfiles/%EC%97%90%EC%8A%A4%EC%8B%9C%ED%83%88%EB%A1%9C%ED%94%84%EB%9E%8C(escitalopram).pdf
- http://mmpharm.co.kr/m/product/general_view.asp?gubun=%EA%B1%B4%EA%B0%95%EA%B8%B0%EB%8A%A5%EC%8B%9D%ED%92%88&sub_name=&mm_code=277
- https://www.demc.kr/medical_info/01_info_0608.htm
- https://daejeonwoori.tistory.com/entry/%EC%97%91%EC%8A%A4%ED%94%84%EB%9E%8C%EC%A0%95-Escitalopram-%ED%9A%A8%EB%8A%A5%EA%B3%BC-%EC%A3%BC%EC%9D%98%EC%82%AC%ED%95%AD
- https://blog.naver.com/nowhyang/222222393510
- https://blog.naver.com/psychoedu/222089461224
-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2001659
- http://m.yakup.com/plan/plan_sub04.html?mode=view&pmode=&cat=all&cat2=78&nid=3000085575&num_start=0
- https://www.einj.org/upload/pdf/jkcs-10-1.pdf
- http://www.druginfo.co.kr/detail/product_cp_cancer.aspx?pid=148215
- http://www.druginfo.co.kr/cp/withpharm/ingredient/ingre_view_cp.aspx?cppid=43272&cpingPid=5929&cpingPid_List=5929
- https://ko.wikipedia.org/wiki/%EC%97%90%EC%8A%A4%EC%8B%9C%ED%83%88%EB%A1%9C%ED%94%84%EB%9E%8C
- https://www.cmcseoul.or.kr/page/department/support/part_medicine/t1/s4/a479411?viewUrlPrefix=%2Fpage%2Fdepartment%2Fsupport%2Fpart_medicine%2Ft1%2Fs4%2Fa
- http://www.druginfo.co.kr/detail/product_cp_cancer.aspx?pid=228216
- https://www.kpanews.co.kr/academy/show.asp?page=2&search_cate=2&idx=1827
-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0119jkma/jkma-52-518.pdf
- http://www.myunginph.co.kr/modules/bbs/bbsView.php?code=bbs_product&id=71
- http://www.cnudh.co.kr/cnubh/health/medicine/info.cs?act=view&infoId=594&searchKeyword=&searchCondition=&pageIndex=2
- https://blog.naver.com/no1ctk/222108504149?viewType=pc
- https://blog.naver.com/centumforest/222713714919
- https://www.jcohns.org/download/download_pdf?pid=jcohns-29-1-36
- http://dong-wha.co.kr/include/file_downLoad.aspx?g=productBoard&f=20170818045905_%25uC5D0%25uD0C8%25uB85C%25uD504+%25uC815.pdf
- https://www.kpanews.co.kr/academy/show.asp?page=3&search_cate=11&idx=23
- https://www.sigmaaldrich.com/KR/ko/substance/escitalopramoxalate41443219861082
- https://medicine.yonsei.ac.kr/gs/expert/support/medicine-board3.do?mode=view&articleNo=58061&title=7.08.28+%5B%EC%95%88%EC%A0%84%EC%84%B1%EC%A0%95%EB%B3%B4%5D+Escitalopram+%EC%84%B1%EB%B6%84%EC%A0%9C%EC%A0%9C+-+%ED%97%88%EA%B0%80%EC%82%AC%ED%95%AD+%EB%B3%80%EA%B2%BD%EC%A7%80%EC%8B%9C+%EC%95%88%EB%82%B4
- https://bktimes.net/detail.php?number=64442
- https://pc.jknpa.org/pdf/10.4306/jknpa.2022.61.4.243
- https://blog.naver.com/su_nyung/222567273762
- https://app.jove.com/t/59204/updated-technique-for-reliable-easy-tolerated-transcranial-electrical?language=Korean
-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02000100&brdScnBltNo=4&brdBltNo=10001&pageIndex=1&pageIndex2=1
- https://dktem.co.kr/bbs/board.php?bo_table=product_infor&wr_id=190&wr_1=CNS
- https://huggingface.co/datasets/squarelike/ko_medical_chat/commit/b85235bd6d3853e0d40f65b5d21a0c75e6b9b519.diff?file=medical_conversation_HealthCareMagic.json
- http://www.whosaeng.com/28557
- https://www.kimsonline.co.kr/DrugCenter/search/totalSearch
- https://accessmedicina.mhmedical.com/drugs.aspx?GbosID=365316
- https://oak.chosun.ac.kr/bitstream/2020.oak/9764/2/%EC%9D%BC%20%EB%8C%80%ED%95%99%EB%B3%91%EC%9B%90%20%EC%A3%BC%EC%9A%94%EC%9A%B0%EC%9A%B8%EC%9E%A5%EC%95%A0%20%EC%9E%85%EC%9B%90%ED%99%98%EC%9E%90%EC%9D%98%20%ED%95%AD%EC%A0%95%EC%8B%A0%EB%B3%91%EC%95%BD%EB%AC%BC%20%EA%B0%95%ED%99%94%EC%9A%94%EB%B2%95%20%EA%B2%BD%ED%96%A5.pdf
Escitalopram is an antidepressant medication belonging to the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class12. It is primarily used to treat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adults and adolescents aged 12 and older, as well as anxiety disorders in adults12. Escitalopram works by increasing serotonin levels in the brain, which helps restore chemical balance and improve mood4.
Uses
-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GAD)
- Social anxiety disorder (SAD)
- Obsessive-compulsive disorder (OCD)
- Panic disorder
Dosage and Administration
The typical dosage for adults with depression ranges from 10-20 mg once daily1. For anxiety disorders, the dosage may start at 5-10 mg daily and can be adjusted based on individual response3. It's important to follow the prescribed dosage and not stop taking escitalopram abruptly without consulting a healthcare provider1.
Side Effects
Common side effects of escitalopram include:
- Nausea
- Headache
- Insomnia
- Dry mouth
- Fatigue
- Sexual problems (decreased libido, ejaculation disorder)13
Most side effects are mild and tend to improve over time as the body adjusts to the medication8.
Precautions
- Escitalopram may increase the risk of suicidal thoughts in young adults, especially during the first few months of treatment5.
- It can interact with other medications, particularly those affecting serotonin levels, potentially leading to serotonin syndrome1.
- Abrupt discontinuation may cause withdrawal symptoms, so dosage should be tapered gradually under medical supervision4.
Escitalopram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effective and well-tolerated antidepressants for short-term treatment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adults2. It has a higher selectivity for the serotonin transporter compared to other SSRIs, which may contribute to its relatively mild side effect profile24.
Citations:
- https://www.drugs.com/escitalopram.html
- https://en.wikipedia.org/wiki/Escitalopram
- https://www.rxlist.com/escitalopram/generic-drug.htm
- https://go.drugbank.com/drugs/DB01175
- https://www.webmd.com/drugs/2/drug-63990/lexapro-oral/details
- https://www.nhs.uk/medicines/escitalopram/about-escitalopram/
- https://medlineplus.gov/druginfo/meds/a603005.html
- https://www.nhs.uk/medicines/escitalopram/side-effects-of-escitalopram/
-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557734/
- https://www.fda.gov/media/135185/download
- https://www.nps.org.au/assets/medicines/7b828ebf-ec18-4b81-8d61-a53300ff970e.pdf
- https://www.goodrx.com/lexapro/what-is
- https://www.mayoclinic.org/drugs-supplements/escitalopram-oral-route/description/drg-20063707
-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escitalopram-oral-tablet
- https://www.carehospitals.com/medicine-detail/escitalopram
반응형'정신과 치료와 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HD약]콘서타 메디키넷 차이 (0) 2025.03.17 [항우울제/SSRI]플루옥세틴, 프로작, 노르작, 푸록틴, 폭세틴 (0) 2025.03.14 [정신과약]치매 환자에서 리스페리돈과 올란자핀의 위험성 비교 (1) 2025.03.04 신장(콩팥)기능이 안 좋은 환자의 항우울제 선택 (0) 2025.02.05 간기능이 안 좋은 환자의 항우울제 선택 (0) 20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