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DHD]자극제-항정신병약 증후군(Stimulant-Antipsychotic Syndrome) ADHD약부작용정신과 치료와 약 2025. 3. 26. 07:07반응형
자극제-항정신병약 증후군(Stimulant-Antipsychotic Syndrome, SAS)은 자극제와 항정신병약물을 동시에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임상적 상태입니다. 이 두 약물군은 서로 상반된 작용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음에도 임상에서 종종 함께 처방되고 있어 관심이 필요한 증후군입니다.
도파민 활동의 두 가지 패턴 - 강직성 활동과 돌발 활동(Tonic / phasic response)
"강직반응 / 돌발 반응"(Tinic / Phasic response)은 도파민 신경 활동의 한 유형을 나타내는 신경과학 용어입니다. 이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도파민 활동의 두 가지 주요 패턴을 알아야 합니다 ADH
mentalhealth.tistory.com
[ADHD약]콘서타 메디키넷 차이
CONCERTA (methylphenidate OROS)와 Medikinet Retard (methylphenidate MR)는 ADHD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용 중추신경자극제로, 방출 메커니즘과 약동학적 특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두 제제의 주요 특징을 비교 분
mentalhealth.tistory.com
ADHD치료 자극제-항정신병약증후군SAS ⓒ정신의학연구소(주) 도파민 체계와 약물 상호작용 메커니즘
자극제와 항정신병약물은 뇌의 도파민 경로에서 반대로 작용합니다.
- 자극제 - 뉴런 사이의 도파민 수준을 증가
- 항정신병약물 - 도파민 수용체에서 그 효과 차단
정신의학에서는 이 두 약물이 서로 다른 수용체 하위유형과 뇌의 다른 경로에서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동시 사용을 합리화해왔습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두 약물이 동일한 수용체 하위유형에서 상호작용하며 뇌의 동일한 부분에서 작용합니다.
도파민 경로 연구에 따르면
- 자극제 - 변연계와 피질 모두에서 상당한 활성화
- 항정신병약물 - 변연계에서 가장 강한 효과를 보이지만 피질에도 영향
수용체 상호작용
자극제의 치료 효과는 D1 수용체에서 가장 강하지만 D2에서도 상당한 작용이 있습니다.
반면, 항정신병약물의 치료 효과는 D2 길항작용에서 오지만, 이 약물들은 실제로 5가지 유형의 모든 수용체에 결합할 수 있는 비선택적 길항제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자극제와 항정신병약물은 실제로 서로의 효과를 차단합니다.
자극제-항정신병약 증후군(SAS)의 임상적 특징
자극제와 항정신병약물은 각각 틱과 근긴장이상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동시 사용 시 운동성 부작용의 위험을 고려해야 합니다. 여러 사례 연구에서 동시 사용과 부작용 사이의 연관성이 제시되었습니다1.
극단적인 도파민 과다 또는 부족 상태의 위험은 한 약물군의 용량을 다른 약물이 있는 상태에서 조정할 때 가장 큽니다.
예를 들어, 교차 감량 없이 항정신병약에서 자극제로 전환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정신병약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도파민 수용체의 상향 조절을 유발합니다. 이렇게 과민해진 수용체에서 길항작용을 제거하면서 동시에 간접 작용제로 시냅스 도파민 수준을 증가시키면 극심한 도파민 과다 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고된 반응 사례
다음은 약물 변경 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반응의 예입니다:
- 항정신병약(아리피프라졸)에 자극제(메틸페니데이트) 추가: 급성 근긴장이상증
- 자극제(메틸페니데이트 XL)가 있는 상태에서 항정신병약(리스페리돈) 제거: 운동이상증
- 항정신병약에서 자극제로 전환: 운동이상증
- 항정신병약(리스페리돈)이 있는 상태에서 자극제(메틸페니데이트) 제거: 추체외로 증상, 메틸페니데이트 재투여 후 해결
복잡한 도파민 모델과 SAS의 이해
기본 도파민 모델은 ADHD와 조현병을 도파민 스펙트럼의 반대쪽에 있는 문제로 봅니다. 그러나 복잡한 도파민 모델에서는 조현병도 낮은 강직성 도파민 수준의 결과로 보아, 증가된 돌발 반응을 초래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복잡한 도파민 모델은 또한 자극제와 항정신병약물이 반대되는 작용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지만, 둘 다 강직성 도파민 수준을 증가시키고 돌발 반응을 감소시킨다고 제안합니다. 이 두 약물군의 주요 차이점은 자극제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시냅스 후 하향 조절을 유발하는 반면, 항정신병약물은 상향 조절을 유발한다는 것입니다.
도파민 활동의 두 가지 패턴 - 강직성 활동과 돌발 활동(Tonic / phasic response)
"강직반응 / 돌발 반응"(Tinic / Phasic response)은 도파민 신경 활동의 한 유형을 나타내는 신경과학 용어입니다. 이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도파민 활동의 두 가지 주요 패턴을 알아야 합니다 ADH
mentalhealth.tistory.com
흥미롭게도, 이러한 반대되는 문제들은 두 약물이 동시에 투여되면 서로를 상쇄할 수 있어, 두 약물에 대한 내성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시너지 효과가 있다면 필요한 약물의 총량이 줄어들어 다른 부작용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임상적 지침
자극제와 항정신병약물의 동시 사용을 고려하는 의사들은 다음 지침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 이론적, 경험적 우려가 있으므로 신중하고 주의하는 태도가 필요합니다.
- 자극제를 사용 중이고 공존 장애가 항정신병약물을 필요로 하는 경우(또는 그 반대의 경우), 먼저 비-도파민 약물로 시도해야 합니다.
- 자극제의 부작용을 항정신병약물로 치료하는 것(또는 그 반대)은 일시적으로 증상을 가릴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저 화학적 불균형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자극제와 항정신병약물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다른 약물이 사용 중이거나 한 약물에서 다른 약물로 전환할 때 어느 한 약물군을 서서히 감량하는 데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 동시 사용 상황에서 부작용이 발생하면, 특히 약물 변경 후에는 자극제-항정신병약 증후군을 의심해야 합니다.
- 자극제와 항정신병약물을 동시에 사용할 때는 모든 부작용을 두 약물이 각각의 용량에서 상호작용한 결과로 봐야 합니다.
ADHD 치료에서 아리피프라졸의 역할은?
아리피프라졸(아빌리파이)은 주의력 결핍/과잉 행동 장애(ADHD)환자에서 아주 많이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아직 ADHD 자체로는 FDA 적응증 승인을 받지는 못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 아리피프라졸의
mentalhealth.tistory.com
결론
자극제와 항정신병약물의 동시 사용은 흔하지만, 그들의 상반된 메커니즘과 상호작용으로 인한 위험성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잡한 도파민 모델은 이러한 상호작용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지만,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동시 사용에 관한 임상 연구는 유망해 보이지만 종종 상충되는 데이터를 보여주며, 상당한 운동성 부작용이 보고되었습니다.
의사들은 이러한 약물의 동시 사용에 대해 이론적, 경험적 우려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가능하면 비-도파민 약물을 먼저 시도해야 합니다. 동시 사용 중에는 부작용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고, 약물 변경 시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TMS 치료, ADHD 증상 개선 효과 뚜렷…약물치료 대안 될까?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장애(ADHD)의 치료에 있어 비침습적 뇌자극기술인 경두개 자기자극술(TMS)의 효능과 안전성이 입증되었다. 최근 발표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연구에 따르면, TMS 치료
www.medinlaw.net
Citations: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2898838/
- https://www.jkna.org/upload/pdf/200505030.pdf
- https://casereports.bmj.com/content/16/10/e255129
- https://nedrug.mfds.go.kr/pbp/CCBBB01/getItemDetail?itemSeq=201104786
-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98-020-73230-w
- https://en.wikipedia.org/wiki/Antipsychotic
- https://cleversleep.co.nz/wp-content/uploads/2022/04/V5I2-Dopamine-agonists-and-sleepiness-in-PD-review-of-the-literature-and-personal-finding.pdf
- https://www.jmcp.org/doi/10.18553/jmcp.2015.21.6.486
- https://www.jkna.org/upload/pdf/201103009.pdf
- https://pubs.acs.org/doi/10.1021/acs.jmedchem.4c00537
- https://pubmed.ncbi.nlm.nih.gov/20622942/
- https://www.msdmanuals.com/ko/home/%EC%A0%95%EC%8B%A0-%EA%B1%B4%EA%B0%95-%EC%9E%A5%EC%95%A0/%EC%A1%B0%ED%98%84%EB%B3%91-%EB%B0%8F-%EA%B4%80%EB%A0%A8-%EC%9E%A5%EC%95%A0/%ED%95%AD%EC%A0%95%EC%8B%A0%EB%B3%91%EC%95%BD
- https://www.thecarlatreport.com/articles/4476-the-antipsychotic-stimulant-combo
- https://psychiatryonline.org/doi/10.1176/appi.ps.201300391
-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2Fjournal.pone.0054152
- https://www.kpanews.co.kr/academy/show.asp?page=2&idx=1380
- https://www.autism-center.org/%EC%95%BD%EB%AC%BC%EC%B9%98%EB%A3%8C
- https://kjsr.org/upload/pdf/kjsr-6-2-90.pdf
- https://www.e-jmls.org/upload/pdf/jmls-2021-18-3-49.pdf
- https://www.health.kr/Menu.PharmReview/_uploadfiles/%EC%A1%B0%ED%98%84%EB%B3%91%EC%9D%98%20%EB%AA%A8%EB%93%A0%20%EA%B2%83%20%EC%9D%B4%ED%95%B4%ED%95%98%EA%B8%B0(2).pdf
- https://pubmed.ncbi.nlm.nih.gov/34847478/
- https://movementdisorders.onlinelibrary.wiley.com/doi/10.1002/mds.28632
-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physiology/articles/10.3389/fphys.2018.00576/full
반응형'정신과 치료와 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우울제]녹내장이 있을 때 항우울제 사용 시 주의사항 (0) 2025.03.25 한국 ADHD 치료제 품귀 현상: 원인, 대응, 영향 분석 (0) 2025.03.21 ADHD 치료에서 아리피프라졸의 역할은? (0) 2025.03.19 [ADHD약]콘서타 메디키넷 차이 (0) 2025.03.17 [항우울제/SSRI]플루옥세틴, 프로작, 노르작, 푸록틴, 폭세틴 (0) 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