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우울제]녹내장이 있을 때 항우울제 사용 시 주의사항정신과 치료와 약 2025. 3. 25. 07:07반응형
녹내장 환자는 항우울제를 처방받을 때 이러한 약물과 안압(IOP) 간의 잠재적인 상호작용으로 인해 특별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녹내장이 있는 경우 항우울제를 사용할 때 필요한 주의 사항을 살펴보고, 어떤 항우울제가 더 안전한지 살펴보고, 모니터링 및 관리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녹내장 환자의 항우울제 사용 ⓒ정신의학연구소(주) 항우울제와 녹내장의 연관성 이해하기
안압 관련 시신경 병증을 특징으로 하는 녹내장은 백내장에 이어 전 세계적으로 실명의 두 번째 주요 원인입니다.
항우울제 사용과 녹내장 위험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여러 연구에서 다양한 결론을 내렸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일부 항우울제는 다음의 여러가지 기전을 통해 안압을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
- 일부 항우울제는 섬모체 근육 활성화 및 동공 확장에 관여하는 세로토닌 경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특정 항우울제의 항콜린 효과는 동공 확장을 유발하여 취약한 개인에서 잠재적으로 각 폐쇄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일부 항우울제의 장기 사용(365일 이상) 및 고용량 복용은 녹내장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자신의 녹내장 유형 파악하기
녹내장 유형에 따라 필요한 예방 조치가 크게 달라집니다. 녹내장 전문의 들은 “약물 라벨의 경고문에는 녹내장 유형을 명시하지 않고 ‘녹내장이 있는 경우 복용하지 마십시오’라는 문구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라고 지적합니다. 하지만, 녹내장의 유형에 따라서 그 위험은 달라집니다. 많은 안과의사들은 안압은 안약으로 조절하면 되니 필요하면 항우울제를 쓰면서 경과 관찰을 하는 것을 권하기도 합니다. 일단 중요한 것은 자주 병원을 방문하고 안압을 관찰하는 것이겠죠. 그 전에, 고려해야 할 두 가지 주요 녹내장 유형이 있습니다.
- 개방각 녹내장(미국에서 가장 흔함) - 만성적이고 서서히 진행되는 질환입니다.
- 폐쇄각 녹내장(협각 녹내장이라고도 함) - 갑작스러운 안압 상승으로 안과 응급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
녹내장 환자에 대한 항우울제 종류와 그 위험성
고위험 항우울제
삼환계 항우울제(TCA) - TCA(아미트립틸린, 이미프라민, 클로미프라민 등)는 강력한 항콜린성 특성으로 인해 폐쇄각 녹내장 발병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는 복용을 피해야 합니다. 이러한 약물의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급성 폐쇄각 녹내장을 촉진할 수 있는 동공 확장
- 섬유주 폐쇄 위험 증가
- 항콜린성 관련 안구 합병증 발생 가능성
중등도 위험 항우울제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 SSRI와 녹내장 사이의 관계는 증거가 엇갈리는 등 다소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SSRI 사용 시 녹내장 위험이 증가하며, 특히 복용 기간이 길고 용량이 높을수록 녹내장 위험이 증가한다고 보고합니다. 캐나다 보건부는 항우울제 사용과 폐쇄각 녹내장 사이의 연관성을 발견하여 제품 정보를 업데이트했습니다. 다른 연구에 따르면 SSRI는 개방각 녹내장에 대해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거나 잠재적으로 보호 효과가 있을 수 있다고 합니다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 SNRI와 녹내장에 관한 사례 보고는 제한적입니다:
둘록세틴과 벤라팍신으로 급성 폐쇄각 녹내장을 치료한 사례 보고가 있습니다. 문헌에 따르면 최근 벤라팍신 투여 후 4시간에서 10일 사이에 증상이 시작된 급성 폐쇄각 녹내장 사례가 4건 보고되었습니다.
잠재적으로 더 안전한 옵션
일부 증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옵션이 녹내장 환자에게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 부프로피온(웰부트린 XL) 및 미르타자핀(레메론)과 같은 비정형 항우울제는 위험이 낮을 수 있습니다.
- 협각 위험 요인이 없는 환자에게는 신중한 모니터링과 함께 적절한 용량의 최신 SNRI 및 SSRI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종합적인 메타 분석에 따르면 “SSRI 및 SNRI 치료는 일반적으로 녹내장 유형이나 안압 상승과 관련이 없습니다. 또한, SSRI 또는 SNRI의 장기 치료는 안압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보호 효과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라고 강조했습니다.
- 녹내장이 있는 경우 우울증 치료를 위해 TMS 와 같이 녹내장에 안전한 뉴로모듈레이션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TMS 경두개 자기자극치료가 무엇인가요?부산정신과추천
우울증 약 없이 우울증 치료할 수 있을까요? 우울증 약이 잘 안 맞는 것 같아요 우울증 약물 치료를 해왔지...
blog.naver.com
녹내장 환자를 위한 권장 예방 조치
항우울제 치료 시작 전
안과적 평가
- 항우울제 치료를 시작하기 전에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녹내장 유형과 중증도를 확인합니다
- 홍채 각막 각도를 평가하고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안저 검사를 받습니다
위험 요인 평가
- 약물 유발 녹내장에 대한 취약성을 높일 수 있는 개인적 위험 요인을 고려합니다:
- 고령, 여성 성별, 녹내장 가족력
- 원시(원시)
- 아시아계 또는 에스키모계 인종
- 두꺼운 수정체, 고원 홍채 구성 또는 좁은 홍채 각도와 같은 해부학적 특징
약물 선택
- 정신과 전문의 및 안과 전문의와 협력하여 가장 적합한 항우울제를 선택합니다
- 가능하면 고위험 약물의 대안을 고려합니다
항우울제 치료 중
- 정기적인 모니터링
- 안과 전문의와 정기적인 후속 진료 일정을 잡아 안압을 모니터링합니다615
- 치료 초기 몇 주 동안은 특히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3
- 경고 신호 인식하기
급성 폐쇄각 녹내장 증상에 주의하세요
- 시야 흐림, 눈 통증, 두통
- 메스꺼움, 구토
- 눈 충혈
- 약물 복용 시작 후 1-49일 사이에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4
용량 고려 사항
- 저용량으로 시작하여 의료진의 감독 하에 점진적으로 증량합니다
- 고용량은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십시오
특별 고려 사항
고령 환자
- 고령자는 특히 주의가 필요합니다:
- 우울증과 녹내장 유병률이 모두 높습니다
- 연령과 관련된 약물 대사의 변화가 위험 프로파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이 집단에서는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특히 중요합니다
여러 약물을 복용하는 환자
- 여러 가지 약물을 복용하는 사람은 주의해야 합니다:
- 일반의약품을 포함하여 최신 약물 목록을 유지합니다
- 녹내장 치료제와 항우울제 간의 잠재적 상호작용에 유의합니다
- 약물을 변경하기 전에 의료진과 상담하기
결론
녹내장 환자의 우울증을 관리하려면 신중한 약물 선택과 주의 깊은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일부 항우울제는 특히 폐쇄각 녹내장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지만, 다른 항우울제는 적절한 의료 감독 하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주요 예방 조치에는 녹내장 유형을 파악하고, 정신과 및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고, 개인의 위험 요인에 따라 적절한 약물을 선택하고, 치료 중 안압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포함됩니다. 우울증의 치료를 위해서 TDCS, TMS 치료를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합니다.
우울증과 녹내장이 공존하는 경우, 의료진 간의 협력적인 접근 방식을 통해 두 질환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면서 안구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의사의 지시 없이 항우울제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 되며, 시각적 변화나 눈의 불편함이 있으면 즉시 의료진에게 보고해야 합니다.
간기능이 안 좋은 환자의 항우울제 선택
간기능이 안 좋은 환자의 항우울제 선택 시 고려할 부분들✅ 간대사 부담이 적은 약물 선택 (CYP 대사 의존도 낮음)✅ 활성 대사산물이 없는 약물 (대사 지연 시 독성 증가 방지)✅ Glucuronidation 대
mentalhealth.tistory.com
신장(콩팥)기능이 안 좋은 환자의 항우울제 선택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 항우울제 선택 시 고려할 점✅ 신장 배설 비율이 높은 약물은 용량 조절 필요✅ 활성 대사산물이 신장 배설되는 약물은 축적 위험✅ 신장 대사 비율이 낮고 간 대
mentalhealth.tistory.com
인용 출처: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5336262/
https://pubmed.ncbi.nlm.nih.gov/15182218/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4614311/
https://journals.sagepub.com/doi/10.1177/02537176221101487?icid=int.sj-full-text.similar-articles.9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269427/
https://www.aao.org/eye-health/tips-prevention/dangerous-medications-glaucoma-dayquil-bendadryl
https://www.psychdb.com/meds/antidepressants/glaucoma
https://www.goodrx.com/conditions/glaucoma/glaucoma-medications-to-avoid
https://ophthalmologybreakingnews.com/discovering-the-link-between-antidepressants-and-glaucoma
반응형'정신과 치료와 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HD]자극제-항정신병약 증후군(Stimulant-Antipsychotic Syndrome) ADHD약부작용 (0) 2025.03.26 한국 ADHD 치료제 품귀 현상: 원인, 대응, 영향 분석 (0) 2025.03.21 ADHD 치료에서 아리피프라졸의 역할은? (0) 2025.03.19 [ADHD약]콘서타 메디키넷 차이 (0) 2025.03.17 [항우울제/SSRI]플루옥세틴, 프로작, 노르작, 푸록틴, 폭세틴 (0) 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