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DCS에서 가장 효과적인 자극 위치, 전류 강도, 시간정신과 치료와 약/뉴로모듈레이션 2025. 2. 4. 00:45반응형
다양한 연구를 바탕으로 tDCS의 최적 자극 위치, 전류 강도 및 자극 지속 시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가장 효과적인 자극 위치
🔹 좌측 배외측 전전두엽 (Lef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 위치: F3 (10-20 EEG 시스템 기준)
- 이유:
- 우울증 치료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자극 부위.
- 감정 조절과 인지 기능 향상에 관여하는 영역으로, 우울증 환자에서 저활성이 관찰됨.
- tDCS를 통해 좌측 DLPFC의 활동을 증가시키면 항우울 효과가 나타남
🔹 보조 전극 위치 (Return Electrode)
- Fp2 (우측 안와상 부위, Right Supraorbital Area)
- 우측 DLPFC (F4)
가장 효과적인 tDCS 시행방법 ⓒ정신의학연구소
2. 최적의 전류 강도
- 1~2 mA가 일반적
- 대부분의 연구에서 1~2 mA 전류 강도가 사용됨
- 1 mA: 경미한 신경 흥분을 유도하며, 피험자들의 내성이 높음.
- 2 mA: 보다 강한 신경 흥분을 유발하며, 효과성이 높다고 보고된 연구가 많음.
- 3 mA 이상은 비선형적 효과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음, 즉 너무 강한 전류는 오히려 기대했던 효과와 반대의 반응(흥분 감소)을 유도할 수 있음
3. 최적의 자극 지속 시간
- 20~30분이 가장 효과적
- 연구에 따르면 20~30분 자극이 항우울 효과를 나타내는 데 최적으로 평가됨
- 13분 이하는 지속 효과가 약함, 9분 이하에서는 효과가 거의 없음
- 30분 이상은 오히려 과활성으로 인해 효과가 감소할 가능성 있음 (칼슘 과부하 이론)
4. 최적의 세션 수 및 빈도
- 10~15회 이상의 반복 세션이 필요
- 단일 세션보다 반복적인 세션이 항우울 효과를 강화함.
- 10~15일 동안 연속적인 세션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후 유지 치료를 위해 주 1~2회 추가 세션을 적용할 수 있음
- 한 연구에서 15일 동안 하루 30분씩 tDCS를 진행한 그룹이 우울증 개선 효과가 가장 높았음
5. 추가적인 고려사항
- HD-tDCS (High-Definition tDCS) 사용 가능성
- 전극을 4개 이상 배치하여 **전류 초점화를 강화하는 방법(HIGH-DENSITY tDCS, HD-tDCS)**이 연구 중임
- 하지만 아직까지는 기존의 F3-Fp2, F3-F4 프로토콜이 가장 일반적이며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됨.
- 개인 맞춤형 자극 가능성
- 최근 연구에서는 개인의 두개골 두께, 뇌 구조, 연령 등에 따라 최적의 전류 강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제안됨
- 특히 노인층에서는 뇌 위축으로 인해 동일한 2 mA 전류가 더 낮은 자극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 따라서 약간의 조정이 필요할 가능성이 있음
6. 결론: 가장 효과적인 tDCS 프로토콜
항목 권장값 자극 위치 양극: 좌측 DLPFC (F3), 음극: 우측 안와상 부위 (Fp2) 전류 강도 2 mA 자극 시간 20~30분 세션 수 최소 10~15회 (연속 적용), 이후 유지 치료 가능 빈도 초기에는 매일 1회, 이후 주 1~2회 유지 치료 가능 📌 이 프로토콜은 연구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며, 비교적 강한 항우울 효과를 보였음.
📌 하지만 개인 차이가 크므로, 최적의 강도 및 빈도를 조정하는 것이 중요함.반응형'정신과 치료와 약 > 뉴로모듈레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CS 이명 치료 (0) 2025.02.17 TDCS연구의 대가 안드레 브루노니 교수 상파울로대학 (0) 2025.02.12 [TDCS]항울제보다 더 좋을까? ELECT-TDCS 연구 (0) 2025.02.11 [TDCS]항우울제보다 효과있는 전기치료?SELECT-TDCS연구 (0) 2025.02.10 FDA승인 절차와 TMS 치료의 승인과정 (0) 20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