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검사]코비불안척도 Covi Anxiety Scale (COVI)심리 2025. 3. 31. 15:03반응형
Covi 불안 척도(Covi Anxiety Scale, COVI)는 성인의 불안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임상 전문가가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이 척도는 세 가지 주요 변수를 평가합니다.
- 환자 불만: 불안 증상의 언어적 보고.
- 행동 관찰: 관찰 가능한 불안 행동.
- 신체 증상: 불안의 신체적 징후, 예를 들어 안절부절 못함이나 긴장감.
이 척도는 불안의 강도를 수치화하기 위해 5점 척도를 사용합니다.
이 척도는 불안 수준을 모니터링하고 치료적 개입을 평가하기 위해 임상 및 연구 환경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코비불안척도 응용 분야
- 임상적 사용: 불안과 우울증을 구분하고 치료 진행 상황을 추적합니다.
- 연구: 불안 패턴을 이해하고 중재 방법을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정책 개발: 불안 장애를 다루는 전략을 안내합니다.
점수 부여 및 분석
응답은 수치로 코딩되며,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의 심각도가 더 큽니다.
설명적 분석이나 회귀와 같은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여 결과를 해석하고 집단 전체의 경향을 파악합니다.
코비 불안 척도(Covi Anxiety Scale, COVI)의 점수는 불안의 심각성을 반영하는 총점을 기준으로 해석됩니다.
- 낮은 점수: 불안 증상이 최소한이거나 경미한 것으로, 일상생활에 거의 지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 중간 점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고 주의가 필요한 불안의 중간 정도를 나타냅니다.
- 높은 점수: 심각한 불안과 관련이 있는 경우가 많고, 심각한 고통과 장애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임상적 개입이 필요한 심각한 불안 상태를 나타냅니다.
통상적으로 인구통계학적 그룹에 따른 점수 비교 또는 개입의 효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 추적을 통해 해석합니다.
기준점수
Covi Anxiety Scale(COVI)의 구체적인 기준 점수가 제공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척도의 기준 점수는 검증 연구 중에 결정되며 평가 대상 인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 점수는 불안의 심각도를 경증, 중등도, 중증 등의 수준으로 분류하는 데 사용됩니다.
코비 불안 척도(COVI) 는 주로 임상의가 평가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경증, 중등도, 중증 불안 수준에 대한 보편적으로 확립된 컷오프 점수가 없으며, 그 해석은 엄격한 수치 기준보다는 임상적 판단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이 척도는 일반적으로 세 가지 구성 요소 각각에 대해 5점 리커트 척도(0~4점) 를 사용합니다:
- 언어적 보고 (주관적인 불안 호소),
- 행동 증상 (관찰 가능한 불안 행동) 및
- 신체적증상 (불안의 신체적 증상).
총점 범위는 0점부터 12점까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불안의 심각성이 더 크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구체적인 컷오프 점수는 임상 상황이나 연구 목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경미한 불안: 총점 0~4점
- 중등도 불안: 총점 5-8점
- 심한 불안: 총점 9~12점
중요 참고 사항:
- 이 범위는 대략적인 수치이며 임상 또는 연구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COVI는 불안과 우울증을 구별하고 보다 포괄적인 평가를 제공하기 위해 해밀턴 불안 평가 척도(HAM-A)와 같은 다른 도구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확한 컷오프 점수나 맞춤형 해석은 원래의 검증 연구를 참조하거나 정신건강 전문가와 상담하세요.
표준화 과정
코비 불안 척도(COVI) 는 측정 도구로서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보장하는 프로세스를 통해 보정됩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파일럿 연구: 초기 연구에서는 질문의 명확성과 참여자 간 응답의 일관성을 테스트하기 위해 실시됩니다. 이를 통해 불안 수준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척도 항목을 세분화합니다.
- 타당도 테스트: 척도는 내용 타당도 및 구성 타당도 평가를 거칩니다. 내용 타당도는 문항이 불안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다루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며, 구성 타당도는 척도가 의도한 바를 측정하는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 신뢰도 테스트: 신뢰도는 시간 경과에 따른 응답의 일관성과 다양한 집단에 걸친 응답의 일관성을 측정하여 평가합니다. 이를 통해 척도가 안정적이고 반복 가능한 결과를 산출하는지 확인합니다 .
- 통계 분석: 요인 분석과 같은 고급 통계 기법을 사용하여 불안의 근본적인 차원을 파악하고 척도의 구조를 확인합니다.
보정을 통해 COVI는 임상 및 연구 분야에서 정확하고 의미 있는 결과를 제공합니다.
Citations:
- https://statistics.datanalysis.net/questionnaires/anxiety/covi-anxiety-scale-covi/
- https://ncithesaurus.nci.nih.gov/ncitbrowser/ConceptReport.jsp?dictionary=NCI_Thesaurus&version=21.07d&ns=ncit&code=C156675&key=n2002041614&b=1&n=0&vse=1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924838/
- https://eprovide.mapi-trust.org/instruments/covi-anxiety-scale
- https://www.cdisc.org/standards/foundational/qrs/covi-anxiety-scale
- https://www.phenxtoolkit.org/toolkit_content/PDF/Coronavirus_Anxiety_Scale_CAS.pdf
- https://www.mdcalc.com/calc/10306/coronavirus-anxiety-scale-cas
-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psychology/articles/10.3389/fpsyg.2022.981121/full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661558/
- https://dergipark.org.tr/tr/download/article-file/1694719
- https://statistics.datanalysis.net/questionnaires/anxiety/covi-anxiety-scale-covi/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8612521/
- https://dusunenadamdergisi.org/storage/upload/pdfs/1614849208-en.pdf
- https://www.phenxtoolkit.org/toolkit_content/PDF/Coronavirus_Anxiety_Scale_CAS.pdf
반응형'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검사]라스킨 우울 척도 Raskin Depression Scale (0) 2025.04.01 한나 아렌트의 악의 평범성 - 선량한 힘을 발휘하는 사회 구조의 중요성 (0) 2025.03.15 [책]상실의 시대책]상실의 시대(노르웨이 숲) 무라카미 하루키 (0) 2025.02.28 자기효용감(Self-efficacy) vs. 주도감(Sense of Agency)의 차이 (0) 2025.02.15 [Sense of Agency vs. Self-directedness]주도감과 자기주도성의 차이 (0) 2025.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