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상생활에서 노출되는 신경독소: 술, 담배 및 기타 환경독소의학정보 2025. 3. 23. 07:07반응형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일상 속에서 다양한 신경독소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독소들은 신경계에 손상을 일으켜 단기적 또는 장기적 건강 문제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주요 신경독소, 특히 술과 담배를 중심으로 그 영향과 대응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일상생활에 노출되는 신경독소 ⓒ정신의학연구소(주) 알코올(에탄올)의 신경독성 영향
알코올은 가장 흔히 접하는 신경독소 중 하나로, 과도한 섭취는 뇌의 구조와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알코올이 신경계에 미치는 영향
알코올은 중추신경계에 직접적인 독성 효과를 나타냅니다. 만성적인 과도한 알코올 소비는 신경인지적, 행동적 결함을 유발하며 이는 신경퇴행과 연관됩니다4. 연구에 따르면 매일 알코올 섭취량이 1g 증가할 때마다 뇌는 0.02년(약 7.5일) 더 빨리 노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2. 정기적으로 음주하는 사람은 금주하는 사람에 비해 뇌의 나이가 약 5개월 더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습니다12.
말초신경에 대한 영향
알코올은 말초신경에도 빠르고 즉각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알코올성 말초신경병증'은 짧은 기간 내에 발병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1. 알코올 섭취는 비타민 B군의 빠른 손실을 유발하여 말초신경 손상을 가속화할 수 있습니다11. 이는 담배보다 말초신경에 더 빠른 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담배와 니코틴의 신경독성
담배에 포함된 니코틴과 다양한 화학물질은 신경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니코틴의 독성 메커니즘
니코틴은 담배의 주성분으로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을 흥분시킵니다. 머리가 멍할 때는 신경을 각성시키고 초조할 때는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중독성이 매우 강하고 그 독성은 청산가리와 맞먹을 정도로 강합니다8. 성인 남성의 니코틴 치사량은 20∼30mg으로, 담배 20개비 분량에 해당됩니다8.
뇌 노화에 미치는 영향
흡연은 뇌 노화를 가속화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흡연량이 1갑년(pack-year) 증가할 때마다 뇌 나이는 0.03년(약 11일) 더 빨리 늙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이는 음주보다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입니다12. 담배를 피우는 사람은 뇌 MRI 영상에서 뇌의 회색질과 백질, 그리고 뇌 용적이 나이에 비해 현저히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12.
술과 담배의 상호작용
술과 담배를 함께 사용할 경우 그 부정적 영향은 더욱 가중됩니다. 술을 마시면 도파민이 분비되어 기분이 좋아지지만, 니코틴이 들어오면 도파민 분비가 줄어들어 뇌는 더 많은 술을 마시도록 지령을 내립니다7. 이런 악순환으로 인해 음주량이 많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흡연 가능성이 5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2.
알코올과 담배 연기에 동시에 노출된 실험용 쥐는 각각 따로 노출된 쥐보다 해마에 활성산소종이 더 많이 증가했으며, 뇌 안에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증가하고 전두엽과 선조체에 뉴런의 생성과 성장을 촉진하는 BDNF 수치가 낮아졌습니다5.
중금속과 신경독성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중금속은 신경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상에서의 중금속 노출
미세먼지는 일상생활에서 가장 쉽게 중금속에 노출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초미세먼지 속에는 카드뮴, 납, 니켈, 크롬 등 중금속 성분들이 들어있으며, 이 미세먼지는 호흡기를 통해 인체 내 기관지 및 폐 깊숙한 곳까지 침투할 뿐만 아니라, 혈관에 흡수되어 뇌졸중이나 심장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1.
중금속은 물에 잘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미량이지만 톳, 밀가루 면류, 티백, 생선, 식기류, 화장품, 식품첨가물, 약, 살충제, 담배 등의 식품을 통해 알게 모르게 섭취하게 됩니다1. 모발 중금속검사 결과에 따르면, 수은 18.5%, 납 3.7%, 알루미늄 2.6%, 카드뮴 2.4%, 비소 1.6%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9.
주요 중금속의 신경독성 영향
- 수은: 중추신경마비, 평형감각 상실, 언어장애, 선천성 뇌성마비, 청력 및 시력감퇴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9.
- 납: 뇌질환, 지능장애, 빈혈, 신장병, 생식기능 장애, 말초신경장애, 과잉행동장애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소아의 경우 낮은 혈중 납 농도에서도 아이큐 감소, 인지 및 학습능력 장애의 신경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9.
- 카드뮴: 뼈의 주성분인 칼슘대사 장애를 일으키며, 만성신장 질환, 폐암, 전립선암, 유방암을 유발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9.
기타 일상에서 접하는 신경독소
다양한 일상 환경에서 우리는 여러 신경독소에 노출됩니다.
흔한 신경독소의 종류
신경독의 흔한 예로는 납, 메탄올(산업용 알코올), 망가니즈, 글루탐산염, 산화질소(NO), 보툴리눔 독소, 파상풍독소, 테트로도톡신 등이 있습니다6. 산화질소나 글루탐산 같은 일부 물질들은 실은 신체가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데 필수적이며, 과도하게 집중될 때에만 신경독의 효과가 나타납니다6.
신경독의 작용 메커니즘
신경독은 세포 막을 건너는 이온의 집중에 대한 신경세포 조절을 막거나, 시냅스를 건너는 신경세포 사이의 연락을 방해합니다6. 신경독 노출의 지역 병리학에서는 종종 신경세포 흥분독성이나 세포자살을 포함하며, 신경 아교 세포의 손상을 포함하기도 합니다6.
부식독인 염산, 수산화나트륨 같은 강알칼리, 크레솔 등은 점막세포가 얇고 예민한 피부, 소화기 점막 등에 작용해 부식작용을 일으킵니다. 염산은 가스 형태로 마시기만 해도 코의 점막이 모두 파괴됩니다3.
신경독소로부터 우리 몸 보호하기
생태계 곳곳에 축적되어 있는 환경독소를 완전히 피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몸속으로 들어오는 환경독소를 잘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생활 속 실천방법
- 식이섬유 섭취: 식이섬유를 풍부하게 섭취해 환경독소 체외 배출을 유도할 수 있습니다1.
- 피토케미컬 활용: 피토케미컬을 이용해 해독능력을 포함한 면역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1.
- 글루타싸이온 생성 촉진: 해독반응을 일으키는 주요 성분인 글루타싸이온의 생성을 높이는 것이 좋습니다. 아스파라거스, 브로콜리, 마늘 등의 해독식품을 통해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1.
- 순환 개선: 림프순환과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면 생활독소의 배출 또한 원활해집니다1.
- 금주와 금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알코올 섭취와 흡연을 줄이거나 중단하는 것입니다. 금연 중인 사람은 6개월까지 술에 취하면 자제력을 잃어 재흡연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급적 술자리를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2.
- 정기적인 검진: 특별한 원인 없이 두통이나 빈혈, 불면증, 기억장애 등의 증상이 지속될 경우 간단하게 소량의 혈액만으로 중금속 중독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예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9.
결론
일상생활에서 우리는 다양한 신경독소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는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술과 담배는 가장 흔하게 접하는 신경독소로, 개별적으로도 해롭지만 함께 사용할 경우 그 영향은 더욱 심각해집니다.
또한 중금속과 같은 환경독소도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며, 신경계에 다양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우리 몸을 이러한 독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는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고, 가능한 한 독소 노출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술과 담배의 사용을 줄이거나 중단하고, 건강한 식습관과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신경독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Citations:
- https://www.yoomd.co.kr/35/8947301
- https://m.health.chosun.com/svc/news_view.html?contid=2023040701877
-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16581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9974143/
- http://www.whosaeng.com/108320
-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A%B2%BD%EB%8F%85
-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1898626
-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081013/8642753/1
- https://www.khan.co.kr/article/201810261032002
-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3377362/
- https://www.youtube.com/watch?v=swSO82TeVWM
- https://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21280
- https://www.hani.co.kr/arti/specialsection/life20/416793.html
- https://blog.naver.com/joyks71/221565495530
- https://blog.naver.com/hellopolicy/220090836793?viewType=pc
- https://www.frontiersin.org/journals/psychiatry/articles/10.3389/fpsyt.2013.00142/full
- https://sev.severance.healthcare/health/encyclopedia/disease/system.do?mode=view&articleNo=65510&title=%EB%B3%B4%ED%88%B4%EB%A6%AC%EB%88%84%EC%8A%A4+%EC%A4%91%EB%8F%85+%5BBotulism%5D
- http://www.cheongson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87
-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84%B8%EC%83%81%EC%97%90%EC%84%9C-%EA%B0%80%EC%9E%A5-%EA%B0%95%ED%95%9C-%EB%8F%85%EA%B7%B9%EB%AC%BC/?cat=36
- https://www.alternativetomeds.com/blog/neurotoxin-removal-improve-life/
- https://www.youtube.com/watch?v=1H3TTFOt0sU
- https://blog.naver.com/yh703803/223477497146?fromRss=true&trackingCode=rss
- https://americanaddictioncenters.org/health-complications-addiction/central-nervous-system
- https://loveme.pusan.ac.kr/include/download.asp?fileidx=4057&bid=cfree
- https://www.psychiatric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18724
- https://blog.naver.com/amc_heart/220683303521
- https://www.mentalhealth.go.kr/portal/disease/diseaseDetail.do?dissId=20&srCodeNm=%EC%95%8C%EC%BD%94%EC%98%AC%EC%82%AC%EC%9A%A9%EC%9E%A5%EC%95%A0
- 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40110000091&a=99&cpv=1
- https://blog.naver.com/koshablog/221594215988
- https://www.yna.co.kr/view/AKR20200203047100009
- http://hysclinic.com/Module/News/Lecture.asp?Mode=V&Srno=10100&PageSize=10&Key=&Page=23
- https://www.ms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930&replyAll=&reply_sc_order_by=I
- https://www.youtube.com/watch?v=lKeE3TOUW7E
- https://synapse.koreamed.org/upload/synapsedata/pdfdata/1119jkma/jkma-47-214.pdf
반응형'의학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파민 활동의 두 가지 패턴 - 강직성 활동과 돌발 활동(Tonic / phasic response) (0) 2025.03.24 6th International Brain Stimulation Conference 국제뇌자극학회 고베 (0) 2025.02.22 이명의 치료 (0) 2021.06.12 COVID-19 아스트라제네카 백신후기 (0) 2021.03.24 [외신]퀸스갬빗에 대한 심리적 고찰 : 충격적이면서도 깊은 감동을 주는 드라마 (0) 2020.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