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DCS] 약물사용장애 효과적 TDCS치료 프로토콜정신과 치료와 약/뉴로모듈레이션 2025. 3. 6. 07:20반응형
많은 사람들이 약물사용장애로 인하여 고통 받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약물중독', '약물사용장애'를 앓고 있는 본인 보다는 그 가족과 주변인들이 더 고통 받고 있죠. '약물사용장애'가 있는 본인은 '신체 건강상 문제'는 있을 지언정, '약물'로 인하여 본인이 지각하는 '고통'은 별로 없죠.
약물사용장애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손상이나 고통을 초래하는 '물질' 사용과 관련된 부적응적인 패턴을 의미하며, 물질과 관련된 문제가 심각함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물질(술, 담배, 마약 등)을 사용하도록하는 인지적, 행동적, 생리적 변화들을 특징으로 합니다. 그래서, 이러한 약물사용장애 환자분들은 반복되고, 변하지 않으려하며, 고집스러운 모습을 보입니다.
알코올 중독자들이 고집스러운 이유
외래에서 알코올 중독을 치료하는 것은 무척이나 어렵습니다. 그렇지만, 스스로 바닥이라는 인식 끝에, 본...
blog.naver.com
이 정도 술 먹는 것은 문제가 없다.
나는 술 끊을 생각은 없다.
술을 꼭 마셔야 되는 경우가 있다.
약주 한 잔이 뭐 중독이냐?이렇게 '변하려 하지 않는 자세' 그 자체가 증상입니다. 왜냐하면, '약물사용장애'의 중요한 특징이, '해독작용'을 넘어 지속되는 뇌 회로의 근본적인 변화 입니다. 이러한 뇌의 변화가, 환자분들이 약물관련 자극에 노출 되었을 때 재발하고, 갈망이 지속되는 중요한 원인이 됩니다.
초기에 물질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사람의 뇌에는 일련의 변화가 발생합니다. 내성, 생리적 의존이 생기게 되면서, 술이나 약물을 중단하는 경우에, 금단 증상(금단 증후군)이 생기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약물을 재사용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약물사용장애에서 tDCS 치료법 안타깝게도, 약물사용장애는 오랜 시간동안 참아낸 뒤에도, 재발하기 쉽습니다. 약물사용을 조절해보려는 본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다시 약물을 사용하게 되기도 합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개인건강, 가족, 직장, 사회 생활 전체로 모든 활동과 관심사를 없애버리고, 오로지 약물사용 그 자체가 가장 중요한 일이 됩니다. 쉽게 말하면, '술'먹기 위해서 부부싸움이 일어나는 것은 아무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상황이 '약물 사용'으로 인한 것을 알면서도, '약물'을 지속적으로 사용합니다.
tDCS에서 가장 효과적인 자극 위치, 전류 강도, 시간
다양한 연구를 바탕으로 tDCS의 최적 자극 위치, 전류 강도 및 자극 지속 시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 가장 효과적인 자극 위치🔹 좌측 배외측 전전두엽 (Left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
mentalhealth.tistory.com
1. 약물사용장애SUDs의 개요
- SUDs(약물 사용 장애)는 약물 사용으로 인해 심각한 기능적 장애를 초래하는 질환으로, DSM-5에서 정의한 개념.
- 단순한 약물 남용에서 만성적 재발과 강박적 사용에 이르는 스펙트럼을 포함.
- 사회적 비용이 크며, 개인의 건강, 생산성 저하, 범죄율 증가 등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함.
2. SUDs에서 자제력 부족의 원인
- 행동적/인지적 문제: 약물 사용자는 강한 충동과 욕구(craving)를 조절하는 능력이 저하됨.
- 실행 기능 장애(executive dysfunction): 전두엽의 기능 저하로 자기조절(self-regulation)과 의사결정 능력 손상.
- 신경가소성 변화: 약물에 의해 보상 시스템(reward circuit)과 전두엽 기능이 장기적으로 변화함.
- 신경화학적 변화: 약물 사용이 지속되면 신경 전달 물질 및 수용체의 발현이 변형됨.
3. 왜 tDCS가 SUD 치료에 적용될까?
- 기존 치료(약물치료, 행동 치료)는 재발 방지에 한계가 있음.
- tDCS는 비침습적(non-invasive) 뇌 자극 기법으로, 전두엽의 기능을 조절하고 실행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
- 다양한 신경정신질환(우울증,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등)에서 효과가 연구되었으며, SUD에도 적용 가능성이 있음.
단어 회상이 어려울 때 효과적인 tDCS 및 tACS 방법
단어가 잘 떠오르지 않는 증상(단어 회상 장애, Word Retrieval Difficulty)은 언어 처리 및 기억 회상과 관련된 뇌 영역의 활성 저하와 관련이 있습니다. 최근 연구들은 tDCS(경두개 직류자극)와 tACS(경두
mentalhealth.tistory.com
🚀 약물 사용 장애(SUDs)에서 가장 효과적인 tDCS 치료 프로토콜
약물 사용 장애(Substance Use Disorders, SUDs)에서 가장 효과적인 경두개 직류 자극(tDCS) 프로토콜은 전두엽(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 dlPFC)을 양측 자극하는 방식이었습니다. 하지만 약물의 종류별로 다르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1. 일반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tDCS 프로토콜
- 뇌 부위: 양측 dorsolateral prefrontal cortex(dlPFC)
- 전극 배치: 양극(anode) → 오른쪽 dlPFC / 음극(cathode) → 왼쪽 dlPFC
- 강도: 2mA
- 전극 크기: 35cm²
- 세션 당 시간: 20분
- 세션 수: 최소 5회 이상 필요
- 세션 간격: 연속적인 세션(매일) 또는 격일 간격 가능
- 임상적 효과: 약물 갈망(craving) 감소, 충동성(impulsivity) 감소, 실행 기능(executive function) 개선
- 레벨 B (효과 있음으로 분류).
2. 약물 유형별 최적의 tDCS 프로토콜
약물의 신경생리학적 특성(억제제 vs. 흥분제 등)에 따라 최적의 tDCS 프로토콜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알코올 사용 장애 (AUD)
- 추천 프로토콜: 오른쪽 dlPFC(양극) + 왼쪽 dlPFC(음극)
- 임상 효과: 갈망 및 재발 감소
- 근거 수준: 레벨 B ("Probably Effective").
(2) 니코틴 사용 장애 (TUD)
- 추천 프로토콜: 왼쪽 dlPFC(양극) + 오른쪽 dlPFC(음극)
- 임상 효과: 금연 성공률 증가, 니코틴 갈망 감소
- 연구 결과: 12주 동안 20세션 시행한 그룹이 가장 높은 금연율을 보임 (Behnam et al., 2019)
- 근거 수준: 레벨 B ("Probably Effective").
(3) 오피오이드 사용 장애 (OUD)
- 추천 프로토콜: 오른쪽 dlPFC(양극) + 왼쪽 dlPFC(음극)
- 임상 효과: 갈망 감소 (단, 재발 방지 효과는 불분명)
- 연구 결과: 10일 연속 10세션을 시행한 그룹에서 약물 갈망과 우울, 불안 증상 감소 (Taremian et al., 2019)
- 근거 수준: 레벨 C ("Possibly Effective").
(4) 자극제 사용 장애 (코카인, 메스암페타민)
- 추천 프로토콜: 오른쪽 dlPFC(양극) + 왼쪽 dlPFC(음극)
- 임상 효과: 주의 편향(attentional bias) 및 실행 기능 개선, 갈망 감소
- 연구 결과: 코카인 사용 장애(CUD)에서는 효과가 일관되지 않음
- 근거 수준: 레벨 C ("Possibly Effective").
간기능이 안 좋은 환자의 항우울제 선택
간기능이 안 좋은 환자의 항우울제 선택 시 고려할 부분들✅ 간대사 부담이 적은 약물 선택 (CYP 대사 의존도 낮음)✅ 활성 대사산물이 없는 약물 (대사 지연 시 독성 증가 방지)✅ Glucuronidation 대
mentalhealth.tistory.com
3. 결론
- 양측 dlPFC 자극(tDCS)은 약물 갈망을 줄이는 효과가 확인됨.
- 알코올(AUD)과 니코틴(TUD) 사용 장애에서 가장 일관된 효과를 보임.
- 오피오이드(OUD)와 자극제 사용 장애에서는 갈망 감소 효과는 있지만 재발 방지 효과는 명확하지 않음.
- 최적의 프로토콜은 약물의 작용 기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맞춤형 접근이 필요.
이 결과는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특히 행동 치료 또는 약물 치료와 병행하여 적용할 때 최상의 효과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응형'정신과 치료와 약 > 뉴로모듈레이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tDCS치료 할 때 ADHD 환자에게 유익한 인지 작업 (0) 2025.03.20 [dTMS] 더블콘 코일의 초점성이 TMS에 주는 영향 (0) 2025.02.26 더블콘 코일 dTMS 와 H-코일 deepTMS 비교 (0) 2025.02.25 [dTMS] 더블콘 코일과 DeepTMS 이중원뿔코일 ACDC TMS (0) 2025.02.24 [언어치료]언어 생성 과제 (0) 2025.02.20